앞서 "해외직구 절차 및 세금 납부 기준" 이라는 제목으로 간단한 해외직구 절차와 어떤 경우에 세금을 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해외직구 물품 운송장 조회방법 및 물품 수취 시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해외직구 절차 및 세금 납부 기준" 내용을 알고 싶다면 위 제목 클릭 >
# 운송장 조회 방법
특송업체를 이용하여 운송되는 해외직구 물품은 일반 택배물품과 마찬가지로 고유의 운송장 번호를 특송업체로부터 부여받는다. 특송업체들마다 운송장 양식이 모두 다르지만, 운송장에는 기본적으로 바코드 형식의 문양이 있으며, 이 바코드 상단 또는 하단에 13자리의 숫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 13자리의 숫자가 바로 운송장 번호이다.
운송장에서 운송장번호를 확인하였다면, 아래와 같은 절차로 내 물건의 현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크게 수입통관 현황과 국내배송 현황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수입통관 현황
ⓛ 인터넷 검색 창에서 "관세청 유니패스" 검색 및 접속
② 관세청 유니패스 화면의 화물진행정보에서 "M B/L - H B/L" 클릭
③ 운송장번호 입력란에 13자리 운송장번호 기재 및 조회 클릭
운송장 번호를 조회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타나며, 화면의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현 상황이 업데이트 된 내역이다.
④ 선박 또는 항공기가 입항될 시, 어떤 물품이 들어오는지 세관에 신고한 화물목록 제출 현황
- 일반적으로 선박의 경우 1일 전 , 항공기의 경우 입항 당일 제출 현황 확인 가능
⑤ 관세사의 수입신고 현황. 목록통관배제 대상물품으로 선정된 경우 수입신고. 목록통관물품인 경우 확인되지 않음.
⑥ 특송물류를 따로 보관해 두는 장치장에 반입되었다는 현황.
- 반입신고 현황이 확인되어야 다음단계인 수입신고수리 및 물품반출이 가능
⑦ 수입신고한 해외직구물품을 세관에서 국내로 반출해도 좋다는 승인 현황
⑧ 특송화물 장치장에서 반출되어 국내 택배사로 인계되었다는 현황
- 일반적으로 우체국 택배로 배송됨.
2. 국내배송 현황
ⓛ 인터넷 검색 창에서 "우체국 택배" 검색 및 접속
② 우체국 택배 화면의 배송조회에서 13자리 운송장번호 기재 및 돋보기 클릭
③ 국내 운송 최종 배송 현황 확인
- 상기 1번 수입통관 현황의 ⑧번에서 물품이 반출이 되었음이 확인되면, 이제 국내배송이 시작되는 것으로 인지하면 되나, 우체국으로 인계가 되더라도 배송집계까지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1~2일 뒤에 국내배송이 시작되면서 전산에 확인되는 경우도 있다.
# 해외직구 물품 받기까지 소요시간
1. 수입통관 소요시간 (*목록통관대상 배제 물품에 한함)
평일에 입항하는 일반적인 대부분의 물품은 우리나라 입항 후 2일 이내로 수입통관이 완료된다. 다만, 아래와 같은 특수사항의 경우 세관행정 스케쥴에 따라 다소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 세관현품검사로 선별되는 경우
- 세관현품검사 결과 금지물품이 다른 물품과 섞여 있는 경우
- 관세 등 세액 납부가 필요한 경우
2. 국내배송 소요시간
일반적인 국내택배와 소요되는 시간은 동일하다. 다만, 배송대행사가 우체국으로 인계하는 시간이 때에 따라 다소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우체국 국내 배송조회가 바로 안되는 경우가 있다.
'수출입 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출신고필증 보는 법 (제1부) (0) | 2023.07.24 |
---|---|
수입 시의 FTA 원산지 증명서 (0) | 2023.07.11 |
해외직구 절차 및 세금 납부 기준 (0) | 2023.06.01 |
수입신고필증 보는 법 (제3부) (0) | 2023.05.28 |
수입신고필증 보는 법 (제2부) (1) | 2023.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