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EU FTA (feat. 원산지증명서 작성 방법)
앞서 "FTA란?" 제목으로 간단히 FTA 개념 및 효과, 체결현황, 수입통관시의 혜택 등을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우리나라가 체결한 FTA 협정 중,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FTA 중 하나인 한-EU FTA 협정에 대해 알아보자. ※FTA란? (feat. 수입 시 관세 혜택) # 한-EU FTA 발효 시기 및 적용 영역 2011년 7월 1일 한국과 EU가 FTA 협정을 체결하였고, EU에 가입된 모든 국가에 한-EU FTA 협정 규정이 적용되며, EU 가입국은 아래와 같다. 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폴란드, 포르투칼,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2023.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