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 해외직구 물품 운송장 조회방법 (feat. 소요시간) 앞서 "해외직구 절차 및 세금 납부 기준" 이라는 제목으로 간단한 해외직구 절차와 어떤 경우에 세금을 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해외직구 물품 운송장 조회방법 및 물품 수취 시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해외직구 절차 및 세금 납부 기준 해외직구 절차 및 세금 납부 기준" 내용을 알고 싶다면 위 제목 클릭 ># 운송장 조회 방법특송업체를 이용하여 운송되는 해외직구 물품은 일반 택배물품과 마찬가지로 고유의 운송장 번호를 특송업체로부터 부여받는다. 특송업체들마다 운송장 양식이 모두 다르지만, 운송장에는 기본적으로 바코드 형식의 문양이 있으며, 이 바코드 상단 또는 하단에 13자리의 숫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 13자리의 숫자가 바로 운송장 번호이다. 운송장에서 운송장번호를 확인하였다면.. 2023. 6. 6. 해외직구 절차 및 세금 납부 기준 개인이 해외 사이트에서 물품을 직접 구입하는 경우, 즉 개인이 해외 직구하는 경우 어떤 경우에 세금을 내야하는지, 내가 주문한 물품을 언제 받을 수 있는지 등 궁금한 사항이 많을 것이다. 이번에는 해외직구 절차 및 세금 납부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해외직구 절차개인이 해외직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해외직구 사이트를 통해 물품을 구매하고, 구매한 물품은 배송대행업체를 통해 운송된다. 배송대행업체를 실무 상 특송업체라 부르며, 이러한 특송업체에는 DHL, FEDEX, UPS 를 포함하여 여러 크고 작은 업체들이 있다. 특송업체들은 각각의 계약된 관세사들이 있으며, 수입신고가 필요한 해외직구 건들은 계약된 관세사가 수입신고를 진행한다. 이를 실무 상 특송수입이라 부르며, 특송수입건들 중 세액 납부가 필.. 2023. 6. 1. 수입신고필증 보는 법 (제3부) 앞서 "수입신고필증 보는법 (제1부)" 와 "수입신고필증 보는법 (제2부)" 제목으로 각각 간단히 수입신고필증의 개념과 수입신고필증의 상단 부분 및 중단 부분 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수입신고필증의 하단 부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수입신고필증 보는 법 (제1부) ※수입신고필증 보는 법 (제2부) 수입신고필증의 하단 부분에는 수입신고한 물품의 총세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각 란사항에서 확인되는 과세가격, 세액이 모두 더해져서 수입신고필증 하단에 기재된다. 즉, 수입신고한 수입화물에 대해 납세자가 납부해야하는 총과세가격 및 총세액을 확인할 수 있다. 수입신고한 화물의 총세액 정보 및 결제 정보는 수입신고필증 상 하단 54번에서 69번까지 확인할 수 있다. 54. 결제금액 : .. 2023. 5. 28. 수입신고필증 보는 법 (제2부) 앞서 "수입신고필증 보는법 (제1부)" 제목으로 간단히 수입신고필증의 개념과 수입신고필증의 상단 부분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수입신고필증의 중단 부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수입신고필증 보는 법 (제1부) # 란사항이란? 수입신고필증의 중단 부분에는 수입신고한 화물의 수입화물 정보가 기재되고, 이런 수입화물 정보는 빨간 네모박스의 란번호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기재된다. 란번호는 수입신고필증 상 다른 항목처럼 번호가 매겨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수입화물 정보를 파악하는데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란번호는 수입신고하는 화물들의 HS CODE, 원산지, 관세율 등의 차이로 구분되기 때문에 수입화물이 많을 때에는 란번호가 몇개씩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란번호001/총란수001" 의 의미는.. 2023. 5. 28. 이전 1 2 3 4 5 6 7 다음